반응형

주식 15

나는 주식을 왜 하나?(feat.꿀잼 손절사례 + 스압주의)_Ep.1

뼈아픈 손절이 있었다. 받은 선물과 그 이상을 뺏기는 고통이 몰려오니 참, 씁쓸했고, 원인을 생각하던 중 문득 이런 질문이 떠오른다. '주식을 왜 하지?' 본인은 직장이 있고, 주식을 하지 않아도 월급이 꼬박꼬박 들어온다. 먹고 살만하다. 그런데, 매일매일 주식에 목메여 아둥바둥하는 삶을 살고 있다. 그렇게 살아온게 주식 입문하고 이제 2년이 되어간다. 2년간 누적으로 수익을 냈느냐? 아니다. 지금껏 주식하면서 사실 온전히 수익을 이어가 본적이 없었던 것 같다. 거의 한달치 월급에 근접해 갈때면 항상 고꾸라졌는데, 이번 10월에는 누적수익이 15%를 넘어가면서 이젠 다르다고 생각하며 자신감이 올랐다. 이제껏 패턴과 다른, 원칙과 차분한 심법이 더해져 안정감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1. 불안감의 엄습,..

주식공부 2022.10.29

소탐대실(小貪大失), 주식에서의 경험(실사례)

요며칠 계속 머리에 각인되고 있는 사자성어. 소.탐.대.실 작은 것을 탐하다 큰 것을 잃는다. 삶에서 소탐대실에 대한 교훈을 얻는 상황이 정말 많은 것 같은데, 그 중 주식에서의 경험이 가장 확실하여 그 메커니즘을 정리해본다. 1. 매일매일 작은 수익만 가져가자고 다짐한다. 2. 그것도 어려운데, 며칠간 약수익을 계속 가져간다. 3. 어느덧 수익이 많아지고, 욕심이 생긴다. 4. 조금만 더 치고 올라줘, 좀 더 말아올려줘. 기다린다. 기대한다. 갈망한다. 욕망이 차오른다. 5. 갑자기 흘러내리기 시작한다. 6. 눌러주고 올라갈 수 있다. 아직 지지라인 안깨졌다 자위한다. 7. 지지라인이 깨졌는데, 그래! 이렇게 개미 겁주고 털어내야 올라가지. 나는 버틴다. 안속아! 외친다. 8. 두려움을 이기고자 나온 ..

잡다구리 2022.10.18

파이썬 주식, 지지선과 저항선 순번 매기기 - 1

일단 아이디어만 구현 해본다.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한다. 1) list에 현재가 추가하고 를 오름차순으로 중복제거 정렬한다. 2) 딕셔너리화 하여 순번을 value값으로 넣어준다. 3) 모든 키값의 value에서 현재가 value를 빼준다. 물론 현재가 value에서도 그렇게 한다. 4) 현재가 value가 0 즉, 기준점이 되고, 오름차순 이므로, 좌측으로는 -1,-2,-3 이렇게 지지점 value가 매겨지고, 우측으로는 1,2,3 이렇게 저항점 value가 매겨짐. 5) 지지라인 개수 카운팅하고, 저항라인 개수 카운팅해서 순서대로 base1,base2, base3 또는 우측으로 res1,res2,res3 이렇게 value를 추가해준다. 아이디어 예시로, 아래와 같이 지지선과 저항선이 list에 마..

시장 바닥 확인하기(feat.차트영웅)

이것 저것 유튜브 영상을 자주 보는데, 그 중 차트영웅 채널 유익하고 괜찮다고 생각한다. 그 중 오늘 올라온 영상, 주식시장의 바닥을 보는 방법 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DEFRV4Rjvrk 썸네일은 솔직히 맘에 안든다. ㅠ 주식에 백퍼센트가 있는것도 아니고, 몰빵은 주식에서 절대적으로 피해야할 자세라고 생각하는 사람이기에.. 뭐 다 본인의 스타일과 철학을 가지고 하는거 아니겠나.ㅇㅇ. 내용을 요약하자면, 1) 코스피 PBR 0.9이하 2) 볼린저 밴드 하한 이하(40,2) 3) RSI 10이 30이하일 때 차트로 보면 아래 화살표 발생할때 마다 분할매수 들어가면 장기 하락추세 중에도 단기 반등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얘기다. 문제는,, 이 지수에 대한 현황은 키움 ..

주식공부 2022.10.03

코스피,코스닥 종목별 뉴스 크롤링하기

크롤링을 왜 하지? 라는 생각을 해본다. 1) 원하는 정보의 뉴스만 가져오고 싶어서 2) 그 행위를 자동화 하고 싶어서 아마 저 2가지 이유일거라 생각이 된다. 그래서 오늘은 일단 간단하게 종목들에 대해 주요 기사를 가져오는 방법을 공유해본다. ※ 크롤링에 대한 방법은 아래 블로거 및 유튜브 내용을 참고했습니다. 1) https://juran-devblog.tistory.com/88 2) https://wonhwa.tistory.com/46 3) https://www.youtube.com/watch?v=U1amkBqKF5g&t=2s 1. Open API 설정. - 종목명을 가져오는 것은 우선 본인의 경우 kiwoom Open API를 활용하고 있다. - 방식은 여러방법이 있겠지만, Open API를 쓰는..

데이터프레임에 append가 안된다고..

기존 Pycharm에서 코딩하다가 VS code로 갈아타려고 했다. 기존 파일 불러와서 실행시켰더니 이런 에러가 떴다. for i in KOSDAQ_code: cnt = cnt+1 df_kosdaq_category = df_kosdaq_category.append({'시장명': '코스닥', '업종명': KOSDAQ_name[int(cnt-1)], '업종코드' : i},ignore_index=True) FutureWarning: The frame.append method is deprecated and will be removed from pandas in a future version. Use pandas.concat instead. df_kosdaq_category = df_kosdaq_category..

파이썬 주식, 지지선/저항선을 그려보자

파이썬으로 백테스팅이나 크롤링 하는 많은 고수분들의 블로그 내용은 많은데, 지지/저항을 그려본 내용은 잘 없었다. 그래서 어설프게나마 만들어 보았다. 혹시라도 관심 있으신 분들이 참고 하실 수 있길 바라며~ 1. 어떻게 지지/저항 라인을 찾나? - 단순히 생각해보자. 일봉이든 분봉이든 파동이 쭉 그려지면 고점은 저항이 되고 저점은 지지가 된다. 그리고 지지는 과거에 저항이었을 거다. → 특정 기간별로 그룹화 해서 min/max를 가려낸다. * df : 주가의 데이터프레임 * gt : 나누고자 하는 단위그룹 별 거래일 수 * term : 분석할 전체 거래일 수 * gcnt : 그룹화 된 그룹 개수 (= term/gt) for 문으로 그룹별 min,max 확인해서 min그룹, max 그룹에 넣어주었다. de..

파이썬 주식 딕셔너리가 좋을까 리스트가 좋을까?

파이썬으로 주식 코딩을 하다보면, 어떤 때는 딕셔너리, 어떤때는 리스트를 사용한다. 그럼 어떤게 더 편할까? 나는 개발자 출신이 아니다. 정말 프로그래밍의 '프' 자도 아직 잘 모르는 입장으로써 단순하게 느낀바로만 말하자면, '딕셔너리'가 편하다. 주식은 '종목코드'가 있고 '종목명'이 있는데, 종목명 또는 종목코드에 대한 정보들을 마구 달아줘서 함께 모아두어야 할 때가 있다. 그럴때 리스트로는 커버가 안된다. 딕셔너리는 key와 value로 구성이 되므로, 당연히 리스트 형식보다 관리하기 좋다. self.real_dict = {} 이런 딕셔너리를 사전에 정의해두었다고 치자. 실시간으로 조회되는 종목들을 담아두려고 만들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딕셔너리에 종목코드를 key값으로 넣고, 그뒤에 필요한 va..

시황판단(CCI,ADX)

코스피로 시황을 본다면 무엇을 봐야할까?? 1. CCI 과매수,과매도 2. ADX 14 이렇게 2개만 보고자 한다. CCI는 24일 주기로 잡았으며, 과매수신호가 뜨면 일단 하락추세나 조정이 발생한다. 과매도신호가 뜨면 단기/장기 상승한다. 다른 지표보다 월등히 잘 맞다. ADR이 코스피.코스닥에 대한 지표를 대변한다고들 하는데,, 잘 모르겠다. CCI가 더 잘 맞아보인다. ADX는 64상향 돌파시 강력매수, 60돌파시 권장으로 구분하였는데, 64돌파는 정말 1년에 한두번 있을까 말까한 시점으로, 환율 1200~1300 사이에서 발생하면 강력 매수시점이다. 그 외에 60돌파도 분할매수 진행해볼만한 타이밍이다. 작성하는 22년 8/21일 기준으로 지금은... 비록....... 다 물려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

주식공부 2022.09.28

월봉,주봉 이용한 단기매매

차트영웅 "평생 써먹는 단기매매법(딱 10분이면 됩니다)" 정말인가 ㅠ https://www.youtube.com/watch?v=D4sQ0Cov8ug >>이론 >>실전예시 1) 월봉먼저확인 월봉상 10선(검은색) 20선(파란색)을 돌파후 정배열로 가다가, 다시 캔들이 하락하면서 20선아래 또는 터치 하면서 조정이 생겼고 그다음 다시 반등줄때, 캔들이 종가상 10선까지 돌파해버린 그때부터 매수로 들어간다. 2) 다음으로 주봉을 확인 주봉으로보면 60선(노란색)을 종가가 돌파한것을 본다. 그리고 시가와 종가 사이, 즉 몸통 구간내에서 분할매수 들어간다. 손절은 주봉상 시가이탈시 손절. 3) 일봉으로 매수타이밍 확인 주봉상 시가와 확인된 종가라인 선을 그어놓고, 몸통안으로 들어올때까지 기다려야한다. 아래 그림..

주식공부 2022.09.28